목록프로그래밍 (45)
힘들면 쉬었다 가자.
살면서 내가 직장 내 괴롭힘을 당할거라고는 생각을 못했다.회사에 재직 중인 상태에서는 보복이 두려워서 신고하지 못했고, 퇴사를 하게 되면서 고용노동부에 그동안 겪은 괴롭힘 사실에 대해서 신고하였지만, 결과적으로는 위반 없음으로 결론이 났다.하고 싶은 말이 많지만.. 제 3자 입장에서 봤을 때 그건 내 주관적인 주장으로 들릴 수 있기 때문에 그냥 객관적인 사실과 결과만 첨부하려고 한다. 접수는 2024년 7월 12일에 했다. 중간에 처리기간 연장으로 당초 처리기한을 넘겨 2024년 9월 25로 연장이 되었지만 이 날짜 마저 지켜지지 않았고, 기한을 훨씬 넘긴 2024년 11월 4일이 되어서야 결과가 나왔다. 아래가 사건처리결과 회신.pdf 문서다.한가지 이해가 되지 않는 점은 "사건처리결과 회신.pdf"..
그동안 고용보험료는 내기만했지 실업금여를 받아본 적이 없다.이번에도 회사에서 나를 해고한건 아니다. 다만 그만둘 수 밖에 없게 만들었다. 그래서 이런 경우에도 실업급여를 받을 수 있는 알아보러 고용복지플러스센터에서 상담을 받아봤다. 그 내용을 기록으로 남겨본다. 혹시나 나 말고도 필요한 사람이 있을 수 있으니깐..난 상담 당시에는 퇴사한 상태는 아니었다. 퇴사전 남은 연차를 등록해서 휴가 중인 상태였고, 퇴직서는 제출했다. 연차가 끝나는 날 퇴사하는걸로 되었고.우선 실업급여를 받기 위해서는 회사에서 내가 퇴사했다는 것을 신고를 해야 되고, 그 때 퇴직 사유를 입력한다고 한다. 이 사유를 보고 실업급여 수령 가능여부를 판단하는 것이기 때문에, 퇴직 사유를 기재한 사직서를 제출했다고 하더라도 바로 실업급여 ..
요즘은 개발자라는 직군이 연봉도 높고, 워라밸도 좋다는 인식이 많이 퍼졌지만 모든 개발자들이 그렇지는 않을 것이다. 그래서 상대적 박탈감을 느끼는 개발자들도 많을 것 같고.. 나 역시 마찬가지다. 원래 개발자들에 대한 대우가 이렇게 좋은 건 아니었다. 내가 대학교를 졸업하고 처음 직장생활을 시작한 2008년 당시 개발자에 대한 대우는 그냥 쓰레기 수준이었다. 솔루션쪽은 그나마 괜찮다고 했었지만, 게임업계는 게임에 대한 개발자들의 열정을 빨아먹고 제대로 된 대우는 해주지 않았다. 지금은 게임업계에서 경쟁적으로 개발자의 연봉을 올리고 있는것과 참 대조적이었다. 그리고 SI는 그야말로 막장. 그리고 SI업계에서도 유명한 사이트 세 곳이 있었다. 목동의 K사, 양재동 N사, 그리고 나머지 하나는 동네가 어딘지 ..
뭐.. 최근 일은 아니다. 거의 일년이 다 되어가는 것 같네. 대학교를 졸업하고 계속 서울~경기에 거주하면서 개발자로 일하고 있었다. 그러다가 회사를 그만두고 고향으로 내려오게 되었다. 뭐.. 나름의 사연과 이유가 있긴했지만.. 공개할만한 이야기는 아니라서.. 뭐 어쨌든, 한동안 쉬다가 다시 직장생활을 하기로 마음먹고 일자리를 알아봤다. 서울 생활하면서 자기집에서 출퇴근 하는 직원들이 그렇게 부러울 수가 없었다. 월세도 안나가고, 전세 대출 같은거 받을 일도 없고, 적게는 수 천만원에서 많게는 몇 억이나 하는 전세 보증금에 목돈 묶일 없다. 그리고 가족들이랑 함께 부모님이 차려주신 밥 먹는 것. 그리고 내 집, 우리집에서 출퇴근 하는 것. 그래서 이번에는 나도 고향에서 한 번 일해보겠다고 지방에는 거의 ..
엔씨소프트 개발직 1차 면접을 보고 왔다. 판교테크노 벨리는 그냥 경부고속도로 타고 지나가면서 구경만 했었지 직접 가본건 처음이었는데 으리으리한 건물들이 많기는 하더라. 참고로 난 게임 개발자는 아니다. 그냥 우연히 채용공고에서 모바일 앱 네이티브 클라언트 개발자를 채용한다는 글을 보게되었고, 그냥 혹시나 하는 마음에 지원해봤다. 입사지원서는 구구 절절한 자기소개서 요청이 없이 그냥 깔끔해서 좋았다. 서류는 어떻게 통과 되고 면접이 잡혔다. 내가 지원한 채용공고. 면접실에 들어가니깐 면접관 3명이 있었다. 한 분은 나이가 좀 있었고, 다른 두분은 내 또래 내지는 나보다 조금 어린 것 같았다. 근데 들어가자마자 나이 좀 있으신 분의 첫 마디가 혼자말로 "아.. 채용공고 수정해야 되는데.."였다. 처음에는 ..
시간이 좀 지난 다음에 올리는거라.. 혹시 요즘은 또 바뀌었는지도 모르겠다.그냥 예전에 했던 사람인 인적성 검사 후기다.내가 신청해서 한거는 아니고, 한 회사에 입사지원을 했는데 거기 채용 프로세스에 사람인 인적성 검사가 있더라. 처음 해보는거라서 조금 신기했다. 위에 탭 보면 두 개가 있다.하나는 "직무능력검사". 다른 하나는 "직무성격검사".입사지원을 좀 해봤던 사람이라면 뭔 내용인지 바로 알 수 있을거다. 직무능력검사는 언어, 수리 등 능력을 평가하는거다. 도형 전개도라던가 숫자 여러개 있고 다음에 올 숫자 고르는 뭐 그런 테스트. 정해진 답이 있다.직무성격검사는 위에 화면에 보이듯이 개인의 성격을 파악하기 위한 검사다. 직무성격검사야 뭐 답이 정해져있는것도 아니고 그냥 나한테 맞는거 고르면 되는거..
면접본 저축은행 이름은 비공개로 할 생각이다. 안좋은 이야기들 밖에 쓸게 없어서.정확하게 밝히기는 어렵지만 그래도 저축은행 중에서 나름 자산규모로 순위권에 드는 저축은행이다.내가 지원한 부문은 전산직. 은행쪽은 잘 알아도 저축은행 전산은 잘 몰랐었는데 면접을 보면서 그래도 조금 알게 되었다. 혹시 저축은행 전산직을 준비하는 분에게 도움이 될까 싶어서 쓴다. 채용 공고에 '계정계 시스템(여신/수신/전자금융)' 이렇게 되어있어서 저 셋 중 한가지를 하는건 줄 알았는데 그게 아니었다. IT 조직 자체가 워낙 작아서 업무가 세부적으로 나눠지지는 않은 것 같고 인프라, 코어뱅킹, 딜리버리 이렇게 세 분류로 업무가 나눠지는 것 같았다.딜리버리는 정확하게는 잘 모르겠는데 아마 클라이언트쪽을 말하는 것 같다. 인프라는..
흔히 인적성이라고 하는 검사. 교보생명에서의 공식적인 검사 이름은 '직무적성검사'다. 1. 언어 2. 수리 3. 인성이렇게 세 가지 부분에 대해서 검사를 한다.그리고 다른 후기들 보면, 교보생명 본사에 가서 검사 받았다는 글이 있던데, 이게 변경된건지.. 교보생명이 아닌 SHR(에스에이치알)이라는 곳에서 검사가 진행되었다. 위치는 영등포. 각 검사 항목에 대해서 설명하기 전에, 모든 과목 공통으로 문제지에 기록을 못한다. 그리고 검사가 끝나면 문제지도 수거해간다. 수리 시간에는 연습지를 나눠주는데, 이것도 역시 검사가 끝나면 걷어간다. 한가지 검사가 끝나면 끊었다가 다음 검사가 이어지는데 쉬는시간 없이 바로 이어서 진행한다. 그리고 마킹은 연필로 하는데, 연필 두 자루와 지우개도 나눠준다. (개인 필기구..
경기도 공공기관의 채용 프로세스는 다른 일반적인 회사들과 달리 1) 필기시험 ☞ 2) 서류전형 ☞ 3)면접 이 순서로 이어졌다. 필기시험 전형 기회가 모든 지원자들에게 주어지기 때문에 매우 공정한 채용 방식이라고 생각된다. 필기시험 후기는 지난번에 작성한 글 참고.2017/08/18 - [프로그래밍/개발자이야기] - 경기도 공공기관(경기연구원) 열린채용 필기시험 후기 (사진은 필기시험 때 찍은 사진 재탕..-_-;) 면접 후기는 그냥 물어봤던 질문 위주로 간단하게 쓰려고 한다.면접 진행은 면접관 3명에 지원자 1명씩 들어가서 봤다. 면접 시간은 20분. 일반 사기업 면접과는 꽤 다른 느낌이었다. 일단 시간이 20분으로 워낙 짧다보니 심층적인 질문들은 별로 이루어지지 않았다. 질문에 대한 답변으로 다시 질..
열린채용이란 경기도가 직접 주관하는 경기도내 공공기관의 통합 채용방식을 말한다. 올해 처음으로 시행되었으며 반응이 좋으면 앞으로도 계속해서 열린채용을 통해 공공기관의 직원을 채용 할 것이라고 한다. 일반적인 채용 프로세스가 1) 서류전형 ☞ 2) 필기시험 ☞ 3) 면접전형. 이렇게 진행되는 반면, 열린 채용은 지원자 전원에게 필기시험의 기회가 주어졌다. 그리고 필기시험에서 합격한 지원자를 대상으로 나머지 서류전형과 면접전형이 진행 되었다. 흔히 얘기하는 "스펙"이 부족해서 서류 통과가 힘든 구직자들에게는 훨씬 더 투명하고 공정하게 느껴지는 채용 프로세스가 아닐까 싶다.지원자 입장에서 당연히 만족도가 높았고, 면접이 끝난 뒤 열린채용에 대한 만족도 설문조사에서 매우 만족스러웠다는 응답을 하기도 했는데, 앞..
채용절차는 서류전형 > 인성검사 > 면접 순서로 진행되었다. 면접은 딱 한 번. 내가 지원한 직무는 전산직이었다. 서류에 합격하면, 인성검사가 이어지는데, 지원한 직무에 따라서 직무능력 검사도 보는 경우가 있는 것 같다. 시험 장소는 제주와 서울 중에서 선택해서 응시할 수 있다. SK핀크스 말고 다른 SK그룹 자회사 지원자들도 있었던걸 보면 인적성검사는 회사에 구분없이 다 모여서 보는 듯 하다. 직무능력검사는 안봐서 모르겠고, 인성검사는 SK에서 자체적으로 만들었다고 하는데 문제가 꽤 깔끔하다는 느낌이었다. 물론 성향에 따라 다르긴 하겠지만 비슷한 시기에 봤던 다른 인성검사 문제들과 비교하면 제일 괜찮았던 것 같다.면접은 제주도에 있는 SK핀크스에서 진행되었다. 공교롭게도 내가 지원한 직무에는 제주도 사..
경력직 채용 전형은 서류 > 1차(실무) > 2차(임원) 이렇게 진행 된다.1, 2차 면접 모두 서울 종각역에 있는 신한은행 백년관에서 진행됐다. 그리고 모두 면접비는 없다. 각종 증명서류는 2차 면접 때 제출해야 된다. 일단 1차 면접 얘기부터 하자면, 실무 면접이라서 각자 지원한 분야에 따라 좀 다른 것 같은데 내 경우에는 면접관님 한 분과 지원자 여럿이 면접을 봤다. 대충 기억나는 질문들을..지원한 이유고객이 대출받으러 영업점에 갔을 때 접수부터 상환까지의 프로세스를 설명해보시오Java 프로그래밍 경험업무 특성상 야근이 있는데 괜찮은지?Pro C 사용 경험TCP/IP 프로그래밍 경험대략 이정도.면접관님은 매우 친절하셨고, 직무에 대한 설명도 해주셨는데 매우 솔직하시다는 인상을 받았다. 예전에 신입으..
블로그 옮겼어요본문 내용을 보려면 아래 링크를 클릭하세요☞ http://oneday0012.tistory.com/2
다음 주소로 이동되었습니다 ☞ http://oneday0012.tistory.com/3
전업 앱 개발자!이름만 들어로 설레인다. 출퇴근의 압박, 상사의 잔소리, 무리한 일정에서 오는 야근, 스트레스... 이러한 것들로부터 해방 될 수 있는 탈출구처럼 느껴지기도 한다. 그렇다면 앱 개발을 전업으로 하게되면 수익이 얼마나 될까? 과연 먹고살만큼의 수익을 얻을 수 있을까?또 전업 앱 개발을 희망하는 사람들이 기대하는 수익은 어느정도 일까?돈과 관련된 부분이라서 검색으로 얻을 수 있는 정보에는 한계가 있었지만, 몇 가지 글들을 바탕으로 한번 정리해보았다.다만 모바일 시장의 변화는 워낙에 빠르기 때문에 적절히 가려듣는 지혜는 필요할 것 같다. 다시말하자면 너무 긍정적으로, 또 너무 부정적으로 생각할 필요는 없을 것 같다. 1. 전업 앱 개발을 희망하는 사람들은 얼마의 수익을 기대할까?사람마다 기대하..
다음 주소로 이동되었습니다 ☞ http://oneday0012.tistory.com/4
다음 주소로 이동되었습니다 ☞ http://oneday0012.tistory.com/5
no screen saver 화면보호기(스크린세이버 라고도 하죠~?)가 동작되지 않도록 해주는 프로그램입니다. [화면보히기 사용 안할꺼임!] 체크박스를 체크 해놓으면 화면보호기가 작동하지 않습니다. 특징 및 기능으로는 최소화 버튼을 누르면 트레이 영역으로 이동합니다. 트레이 아이콘을 더블클릭 하거나 우클릭 후 나타난 메뉴에서 [열기]를 선택하면 원래 화면으로 복귀합니다. 트레이 아이콘 우클릭 후 나타나는 메뉴에서도 화면보호기의 동작 여부를 선택 할 수 있습니다. 프로그램을 종료하면 화면보호기는 다시 작동합니다. 화면보호기의 설정을 변경하는 것이 아니고, 일정시간 간격으로(9분) 마우스를 미세하게 움직이도록 해서 화면보호기가 실행되지 않도록 합..
패키지 소프트웨어를 만드는건 아니지만..어쨌든 프로그래밍으로 밥 벌어먹고 있는 한 사람으로서 참 안타까운 내용의 글을 보게 되어서 한 번 올려본다. 아래 첨부한 사진은 회사 사내 게시판에 올라온 글이다.댓글이 13개면 그래도 꽤 많은 글들이 달린거다.사내 게시판에서 포토샵이라,, 난 처음에 저 글의 제목과 댓글수만 보고 '아,, 저 사람 개념없다고 엄청 까이겠구나..' 라고 속으로 생각했다..그런데 이게 왠걸.... 댓글은 대부분이 자기한테도 보내달라는 그런 내용이었다....그나마 밑에 보이는 몇 분들만 걱정되는 댓글을 남겨주셨다. '하........ 이건 뭐..' 그냥 보면서 참 안타까웠다.. 영화나 음악같은 문화콘텐츠는 옛날 소리바다 쓰던 때와는 달리 저작권 관련 인식이 많이 성숙해진 것 같은데어떻게..
HTML/CSS에서 사용되는 표준 색상 키워드 입니다. aqua black blue fuchsia gray green lime maroon navy olive orange purple red silver teal white yellow 더 많은 색상 키워드를 확인하려면 아래 링크를 클릭하세요. * X11 color names ☞ http://en.wikipedia.org/wiki/X11_color_names
1. 프론트 엔드 디자이너 - 대부분 HTML과 CSS에 해당. 프론트 엔드 디자이너들은 부분적으로는 프로그래머나 그래픽 아티스트 역할을 하며, 사이트 내의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상당 부분을 담당 2. 인포메이션 아키텍트 - 콘텐츠와 디자인 내비게이션을 설계 3. 그래픽 디자이너 - 오프라인 상에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디자인하고, 자신만의 작품을 개발, 인터페이스를 구현하기 위해 프론트 엔드 디자이너와 밀접하게 일함 4. 사용자 경험 디자이너 - 일관적이고 유용한 인터페이스를 개발하기 위해 팀 단위로 일을 함.사용성 테스트를 운영하고 관리하는 책임도 지고 있음 5. 원고 작성자 - 일부 대규모 디자인 회사에서는 원고 작성자가 프로젝트를 위한 콘텐츠를 개발하고 작성하는 데 도움을 주기도 함 6. 프로그래머 ..
회사에서 전에 쓰던 툴이 TOAD라서 계속 쿼리문을 실행할 때 F9에 손이갔다. 반면 SQLGate에서 디폴트로 설정된 쿼리문 실행 단축키는 F5.. 이 설정은 [사용자 지정] 옵션에서 변경 할 수 있다. 위 사진에서 보이는 대로 SQLGate 메뉴에서 [도구] > [사용자 지정] > [SQL 쿼리 편집기 사용자 지정] 을 선택하면, 아래와 같은 대화상자가 뜬다. [바로 가기] 탭을 선택 한 뒤 사용자에 맞게 변경해주면 끝!!
SQLGate2010의 경우 쿼리 편집기에서 각각의 쿼리를 구분하기 위한 구분자로 세미콜론 ( ; ) 캐리지 리턴 ( \n ) - 우리나라말로 개행문자, 더 쉽게 말하면 엔터키 이렇게 두가지를 제공한다. 처음에는 방법을 몰라서 그냥 세미콜론(이게 디폴트 설정임)을 사용했는데, 옵션에서 변경할 수 있었다. SQLGate 메뉴에서 [도구] > [옵션] 을 선택하면, 아래와 같은 대화상자가 뜬다. 붉은 선으로 표시한 대로 왼쪽 메뉴에서 [ SQL 쿼리 편집기 ]를 선택하면 SQL 구분 기호를 선택할 수 있다.
웹서핑 중에 발견한 글인데 원문출처가 남아있지 않네요.이 글이 사실이라면.. 정말 기가막히네요. 행정시스템을 만드는 사람과 사용하는 사람이 다르니깐 이런 기가막힌 일들이 생기는 것이겠죠. 이런 불합리한 부분은 하루빨리 개선되었으면 좋겠습니다. 대한민국의 차세대 신 성장 동력이라는 게임산업의 멍청하고도 한심한 단면에 대해 정말 뼈저리게 느끼게 되서 글 남겨봅니다. 아시다 시피, 애플 아이폰 앱스토어 한국에는 게임 카테고리가 아예 존재하지 않습니다. 이유는?, 전세계에서 대한민국만이 유일하게, 게임제작을 사전심의하기 때문입니다. 뿐 입니까? 학교 과제로, 또는 집에서 친구들과 심심풀이로 플래쉬로 만드는 게임을 자기 홈페이지에 올리는 것 조차 돈내고 사전 심의 받으라는 나라가 대한민국입니다.네. 공산국가 중국..
PCA(Pricipal Component Analysis) - 주성분 분석법 백터표현의 통계적 특성을 기반으로 한 방법으로 Karhunen-Loeve 근사법으로 부르기도 하며, 통계적으로 변화가 있는 N차원의 M개의 벡터를 공분산(Convariance) 행렬에 의해 고유 벡터(Eigen Vector)로 표현한다. 이 분석법은 서로 다른 공간의 차원을 줄여서 간단히 표현하는 실용적인 방법으로 널리 알려져 있다. PCA의 기본적인 아이디어는 전체 영상공간에서 얼굴을 가장 잘 표현할 수 있는 벡터를 찾는데 있다. 다시 말해서 원래의 얼굴 영상에서 일치하는 공분산 행렬의 고유벡터를 찾는 것이다. 여기서 고유벡터는 얼굴처럼 표현되기 때문에 고유얼굴(Eigen Face)이라는 용어를 사용하며, 주성분은 얼굴의 눈,..
안드로이드 스마트폰을 사용하고 계신다면 모르는 분이 없을 것이라고 생각하지만,, 혹시나 저 처럼 일반폰을 사용하면서 안드로이드 프로그래밍을 공부하시는 분이 있을까봐 포스팅합니다. 뭐 이런걸 올리냐고 뭐라고 하지 말아주세요~ 홈스크린 위젯(또는 앱위젯)은 일반적인 어플(또는 앱)과는 달리 에뮬레이터에서 바로 해당 앱이 실행되어서 보여지는게 아니라 따로 해당 위젯을 사용하도록 설정을 해야 됩니다. (일반 폰을 쓰다보니깐 이런 개념도 몰랐네요..-_-;) 우선 컴파일 완료 후 에뮬레이터를 실행합니다. ▲ 일반적인 앱과는 달리 아무런 변화도 없습니다. 일단 에뮬러이터에는 아무런 변화도 없습니다. 위젯을 확인하기 위해서는 위젯 설정메뉴로 들어가야 합니다. 메뉴를 호출하는 방법은 바탕화면의 빈 곳을 꾸욱- 누르고 ..
몇일 전 강컴에서 추천도서 메일이 왔습니다. 메일을 열어보니 "안드로이드 프로그래밍 정복" 개정판 출간에 대한 내용이었습니다. 아직 초판도 다 읽지 못했는데,, 책을 구입한 지는 6개월 정도 되었지만 교통사고가 나는 바람에 한참을 못 보다가 얼마전 부터 다시 보고 있는데 갑자기 보기 싫어집니다,,-_-;; 예전 대학생 때 Java 공부할 때도 1.4로 보고 있으니깐 1.5가 나오고 또 얼마 지나지 않아서 1.6이 나오고.. 버전업되는 속도가 빠른 것도 있지만, 이번 안드로이드 프로그래밍 정복의 경우 초판과 개정판의 목차나 분량을 비교해 봤을 때 초판이 너무 급하게 나왔던게 아닌가 하는 생각이 듭니다... ▲ 초판과 개정판의 페이지 차이가 거의 두배입니다.. 2권에 나오는 내용들은 기존판에서는 대부분 다뤄..
이 글은 디시인사이드 프로그래밍 갤러리 'Umich'님이 작성한 글임을 미리 밝혀둡니다. 원문글을 보시려면 여기를 클릭하세요.(새창) 모였냐? 이 횽이 벌써 다섯번째 글을 쓰게 되는구나... 저번에는 직장생활에 대해 썼고.. 오늘은 그냥 미국에서의 일반적인 삶에 대해 써볼라 했는대, 나말고도 니들 주변에 미국서 사는 아는 사람들이 있어 이야기를 많이 들을수 있을것 같아 짧게 내 생각만 말해보겠다 미국에서는 한국보다 더 많은 여유를 가질 수 있다. 난 그걸 이곳에서 살아가는 야생동물을 보고 느낄 수 있다. 이 횽이 집앞 잔디밭에 나가 있으면 자주 다람쥐나 토끼들이 왔다 갔다 하는걸 본다. 정원에 해바라기 씨를 심었더니... 자꾸 야생토끼들이 와서 그 싹을 먹어버려 하나도 제대로 자라지를 못했다. 밤에는 너..
이 글은 디시인사이드 프로그래밍 갤러리 'Umich'님이 작성한 글임을 미리 밝혀둡니다. 원문글을 보시려면 여기를 클릭하세요.(새창) 모였냐 들? 여긴 벌써 12시반 목요일이다. 금방 또 주말이구나.. 내가 글쓰면서 반말 찍찍 거린다고 기분 나빠 하지마라. 니들한테 반말하고 싶은 생각은 전혀 없는대, 디시에서는 이렇게 말하는게 트랜드라 이러는거다. 이 형 그렇게 4가지 없는 넘 아니다. 그냥 재밌자고 이러는거니깐 그렇게 알아라. 본론. 한국에서 보다 미국에서 일하면 개발자들은 더 많은 연봉을 받을 수가 있다. 그러나 좋은게 그거 하나 뿐이 아니다. 지금부터 하는 이야기는 미국에서 일을 함으로써 어떤 점에서 너희들의 인생이 좋아질수 있는지를 알려주고 싶다. 이 이야기 읽다가 부러워서 배가 아프더라도 참아라..
이 글은 디시인사이드 프로그래밍 갤러리 'Umich'님이 작성한 글임을 미리 밝혀둡니다. 원문글을 보시려면 여기를 클릭하세요.(새창) 형 또 왔다. 이거 글 매일 쓰는것도 상당히 부담이 되네 ㅡㅡ;; 어제 하던 이야기 이어서 하자. 유학을 하러 오는 경우면 무조건 좋은학교로 영어공부를 하러 오는거면 한국사람이 많은 뉴욕이나 LA로 가라. 영어공부만이 목적이면 한국사람이 없는 곳으로 가야겠지만... 니들은 영어연수를 빙자해서 (ㅡㅡ;) 미국에 들어온담에 직장 잡는게 목적이기 때문에 한국사람이 많은 곳으로 오라고 권하고 싶다. 이유는, 아무래도 한국 사람이 많은 곳으로 오면 친구사귀기도 쉽고 도움 받을 사람을 만들기도 쉽다는거다. 무엇보다 한국인이 운영하는 회사에 취직할 수도 있다. 갖 미국에와서 영어도 딸..